보안관제 전문기업 지정 등에 관한 공고 제2019-441호/기술인력의 자격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17-161호

기술인력 자격기준

 

구분  관련 자격 또는 관련 학력을 보유한 사람  관련 자격 또는 관련 학력을 보유하지 않은 사람 
 초급
기술자
・ 학사 이상의 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4년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4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정보통신 관련 경력 6년 이상 있는 사람

 중급
기술자
・ 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7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초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고급
기술자
・ 박사학위 또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 4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6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8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8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10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중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특급
기술자
・ 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박사학위 또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 7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9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1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1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1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고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기타  ※ 정보통신유관경력은 정보보호유관경력 50%로 인정한다(단, 정보보호유관경력은 정보통신유관경력과 중복인정 안됨).
※ 자격 및 학위 취득 이전의 정보보호유관경력은 50%를 인정한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정보보호전문가(SIS) 2급 자격을 취득한 자는 유관 자격 또는 유관 학력의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초급 기술자로 인정하며, SIS 1급은 기사 자격에 준하여 인정한다(단, 비고 “5호”의 “가” 항목과 중복인정 안됨).
※ 국내외 해킹방어대회 입상자는 전문위원회 심의를 통하여 유관 자격 또는 유관 학력의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중급 기술자 이상으로 인정할 수 있다.

 

 

<비고>

 

1. “관련자격”이란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별표 7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 검정의 소관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통신설비, 통신기기, 통신선로, 정보기기운용, 전파통신, 전파전자,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관리, 정보처리, 사무자동화 및 전자계산조직응용 종목의 기술자격을 말한다.

 

2. “관련학력”이란 「고등교육법」에 따른 해당 학교에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학과에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하거나 그 밖의 관계법령에 따라 국내 또는 외국에서 이와 같은 수준 이상으로 인정되는 학력을 말한다.

 

가. 전자 관련 학과: 정보전자, 전자, 전자계산, 전기전자제어, 전자정보, 전자제어, 전기전자, 전자전기정보, 전자컴퓨터전기제어, 컴퓨터과학, 전기전자정보, 전자컴퓨터, 메카트로닉스, 전자재료, 제어계측, 반도체 

 

나. 정보통신 관련 학과: 전기통신설비, 국제정보통신, 방송설비, 방송통신, 이동통신, 전자통신, 컴퓨터네트워크, 통신, 컴퓨터정보기술, 전파통신, 전기전자통신, 전기전자정보통신, 전자정보통신, 전자제어통신, 전자통신, 전파, 전파통신, 정보통신, 컴퓨터통신, 항공통신정보, 전자정보통신반도체, 전기전자전파, 통신컴퓨터, 무선통신 

 

다. 정보처리기술 관련 학과: 시스템, 전산, 정보전산, 컴퓨터제어, 컴퓨터응용제어, 컴퓨터응용, 컴퓨터응용설계, 구조시스템, 컴퓨터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시스템, 전산통계, 정보처리

 

라. 그 밖에 교육부장관이나 해당 교육기관의 장으로부터 전자․통신 및 정보처리기술․정보보호 관련 학과로 인정받은 학과

 

3. “정보통신 유관경력”이란 공공기관, 민간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정보통신서비스(기간통신, 별정통신, 부가통신, 방송서비스 등을 말한다), 정보통신기기(정보기기, 방송기기, 부품 등을 말한다) 또는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패키지 소프트웨어, 컴퓨터 관련 서비스, 디지털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작 및 검색 등을 말한다)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계획․분석․설계․개발․운영․유지보수․컨설팅․감리 또는 연구개발 업무 등을 수행한 기간을 말한다. 

 

4. “정보보호 유관경력”이란 공공기관, 민간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정보보호를 위한 공통기반기술(암호 기술, 인증 기술 등을 말한다), 시스템․네트워크 보호(시스템 보호, 해킹․바이러스 대응, 네트워크 보호 등을 말한다) 또는 응용서비스 보호(전자거래 보호, 응용서비스 보호, 정보보호 표준화 등을 말한다)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계획․분석․설계․개발․운영․유지보수․컨설팅 또는 연구개발 업무 등을 수행한 기간을 말한다.

 

5.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격증을 보유한 자는 정보보호유관경력 1년으로 인정하되, 중복 인정은 할 수 없다.(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인정 자격 또한 다음 각 목과 같으며, 정보보호유관경력과는 중복 인정되지 아니한다.)

 

가. 정보시스템감리사

나. 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CISA: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다. 공인정보시스템보호전문가(CISSP: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rofessional)

라. 정보보호전문가(SIS: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마. 정보보안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사. 전자정부정보보호관리체계(G-ISMS: Governmen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아.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6. 제7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술인력은 신원조사에서 국가 안전보장에 유해한 정보가 있음이 확인되면 기술인력으로 인정되지 아니한다.

 

보안관제 전문기업 지정 등에 관한 공고.hwp
다운로드

 

스테들러와 삼성은 2월 27일 MWC 2017에서 전통적인 연필 같이 생긴 S펜을 개발하고 발표했습니다. 이 새로운 스타일러스의 외형은 독일 연필 제조업체 스테들러의 노리스 스타일러스와 똑같지만, 실제는 삼성 S펜입니다.


새로운 S 펜은 4096 레벨의 필압을 감지하고, 스크린이 꺼져 있을 때 조차도 메모를 저장할 수 있고, 아웃라인 스크린샷 혹은 주석을 단 PDF 문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더버지 사보브 기자는 "노리스디지털을 사용하는 느낌은 인체공학적으로 자연적이며 학교에서 필기할 때 타이핑이 아닌 종이에 글을 쓰는 방식으로 자라온 사람들에게 더욱 가까운 느낌이다. 삼성-스테들러의 S펜에 대해서도 똑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비록 S펜의 길이가 기존보다 두 배로 길어졌고 옛날처럼 기기에 S펜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지 못했지만, 더 커진 사이즈와 형태가 주는 친숙함은 S펜을 사용할 가능성을 엄청나게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새로운 S펜의 정확한 출시일과 가격은 아직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012345



2월 27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Mobile World Conference)에서

갤럭시 탭 프로S 라는 긴 이름을 버리고 갤럭시북 10.6과 갤럭시북 12.0을 공개했습니다.

어찌보면 갤럭시노트 10.1, 갤럭시노트 프로 12.2, 갤럭시탭 프로S의 라인업정리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갤럭시북에는 멀티터치 패드가 탑재된 풀사이즈 키보드 커버가 함께 제공되며 일반적인 노트북과 같이 각 키가 분리된 아일랜드 스타일의 자판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터치패드도 훨씬 더 커졌습니다. 기존 갤럭시 탭 프로 S 키보드의 경우 각 키가 붙어 있다보니 오타도 많이 발생하고 키감도 좋지 않았는데, 이번엔 어떨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키보드 커버는 사용 용도에 따라 40∙53∙60도 세가지 각도로 세울 수 있는 '노트북 모드'와

S펜으로 그리는 '이젤 모드' 아예 눕히거나 10도로만 세우는 '노트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비용문제가 발생하겠지만 다른 노트북처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건 여전히 아쉬운 부분입니다.


또한 프레임과 후면 전체에 실버 메탈 소재를 적용한 풀 메탈 디자인으로 키보드는 블랙과 화이트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됩니다.


01234


S펜은 펜대 두께가 9㎜로 일반 필기구와 비슷하고 펜촉 두께는 0.7㎜로 가늘며, 태블릿이 4천96단계의 필기 압력을 인식해 정교하고 섬세한 표현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갤럭시노트에서 지원되고 있는 원하는 부분을 확대할 수 있는 '돋보기', 동영상을 일부 잘라 GIF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 셀렉트' 등 기존 S펜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갤럭시탭 본체 삽입이 아니라 키보드 옆에 끼우는 방식으로 분실 위험이 높다는 생각이 듭니다.



[Samsung Galaxy Book 10.6 사양]

261.2 x 179.1 x 8.9 mm aluminum body; 640g(Wi-Fi) / 650g(LTE)

2-in-1 form factor with a detachable keyboard; S Pen stylus; both included

10.6-inch TFT FHD 1920x1280 pixel display

7th Gen Intel Core m3 processor, Dual Core 2.6GHz

4GB RAM; 64GB/128GB eMMC

microSD up to 256GB

30.4W battery; up to 10hrs, Fast Charging support

Wi-Fi 802.11 a/b/g/n/ac, 2X2 MIMO; LTE Cat. 6; Bluetooth® 4.1 BLE; GPS + GLONASS; USB 3.1(Type-C);

Windows 10 OS

5MP fixed camera


[Samsung Galaxy Book 12 사양]

291.3x199.8x7.4 mm aluminum body; 754g (Wi-Fi and LTE)

2-in-1 form factor with a detachable keyboard; S Pen stylus; both included

12-inch Super AMOLED 2160x1440 pixel display; 10-bit HDR support

7th Gen Intel Core i5 processor, Dual Core 3.1GHz

4GB/8GB RAM; 128GB/256GB eMMC

microSD up to 256GB

39W battery; up to 10.5hrs, Fast Charging support

Wi-Fi 802.11 a/b/g/n/ac, 2X2 MIMO; LTE Cat. 6; Bluetooth® 4.1 BLE; GPS + GLONASS; 2x USB 3.1(Type-C);

Windows 10 OS

13MP Auto focus + 5MP fixed camera


※ HDR은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영상재생기능입니다.


추가적으로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플로우 앱을 통해 갤럭시 탭프로S의 잠금을 풀거나 갤럭시폰에 있는 파일과 콘텐츠를 손쉽게 옮길 수 있는 기능이 오는 4월에 예정된 윈도10 메이저 업데이트 후, 모든 윈도 10 PC까지 확대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삼성 갤럭시 탭프로 S2의 사양과 기타 세부 사항들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해 유출되었습니다.

올해 2월 27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릴 예정인 MWC(MobileWorldConference)에서 갤럭시 탭프로 S2가 출시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차세대 프리미엄 윈도우 10 태블릿PC '갤럭시탭 프로 S2(가칭)'에 인텔 U 시리즈 프로세서가 탑재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외 매체 샘모바일이 보도했습니다.

 

그동안 '갤럭시탭 프로 S2'에는 12인치(2160×1440 픽셀) 해상도 디스플레이와 최신 인텔 코어 M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 전해진 소식은 다릅니다.

 

인텔 U 시리즈 프로세서는 전력 소모가 적지만 인텔 노트북용 프로세서와 비교해 성능은 떨어집니다. 하지만, 갤럭시탭 프로 S2는 태블릿PC인 만큼 U 시리즈 프로세서가 더 적합할 수 있다고 매체는 전했습니다.

 

한편, 최근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서는 버라이즌에서 출시할 '갤럭시탭 프로 S2' LTE 모델의 도면이 포착됐습니다. 도면에 따르면 갤럭시 탭프로 S2 후면에는 메탈 소재가 적용됐습니다. 또, 왼쪽 상단 코너에서는 팬 구멍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달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7에서 갤럭시 탭 S3와 함께 갤럭시탭 프로 S2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아래는 공개된 태블릿의 주요 사양입니다.

  • Galaxy TabPro S2 will come with Windows 10 operating system just like the Xiaomi’s upcoming MiPad 3.
  • The tablet has a 12″ inch Super AMOLED Quad HD display with a resolution of 2160 x 1440. It will also feature an SD card slot and a SIM card slot.
  • The leak reveals that the tablet is based on the new Intel Core i5-7200U 7th Gen “Kaby Lake” processor clocked at 3.1 Ghz. The CPU has 2 cores and 4 threads with 3MB of Intel’s smart cache. It has an integrated Intel® HD Graphics 620 which can clock upto 1GHz.
  • The tablet has 4GB of LPDDR3 RAM.
  • The tablet also features 128GB of SSD storage.
  • The device shines when it comes to camera and features a 13-megapixel rear camera with native 4K video recording support and also a full HD 5-megapixel camera on the front is mentioned.
  • Support for the S-Pen and Keyboard cover is also there.
  • The device has a mammoth 5070 mAh battery with a 25W Turbo Charger.
  • Some of the other features of the tablet include Two USB 3.0 Type C ports, Bluetooth 4.1, LTE support, and Dual band 2.4 GHz and 5 GHz 802.11 a/b/g/n/AC Wi-Fi support.

 

이번에는 i5 CPU와 microSD카드, S-Pen, USB type C 포트 2개가 눈에 띄네요.

아쉬운건 4GB RAM과 128GB SSD인데, 이번에도 8GB RAM과 256GB SSD 모델이 나오겠죠? ^^

 

 

 

 

 

'IT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들러 노리스 디지털(STAEDTLER Noris digital) S펜  (0) 2017.02.28
갤럭시북  (0) 2017.02.27
보안관제 기술인력 자격기준 / 보안관제 기술등급 (제2016-0516호)  (0) 2017.02.03
로그분석 툴  (0) 2016.12.02
GVIM  (0) 2016.12.02

보안관제 전문기업 지정 등에 관한 공고 제2019-441호/기술인력의 자격기준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2016-0516호

기술인력 자격기준

 

구분  관련 자격 또는 관련 학력을 보유한 사람  관련 자격 또는 관련 학력을 보유하지 않은 사람 
 초급
기술자
・ 학사 이상의 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4년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2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4년 이상의 정보통신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정보통신 관련 경력 6년 이상 있는 사람

 중급
기술자
・ 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5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7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초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고급
기술자
・ 박사학위 또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 4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6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8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8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10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중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특급
기술자
・ 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박사학위 또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 7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 학사학위, 기사 또는 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자격을 취득한 후 9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 졸업 또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1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학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 11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전문대학을 졸업한 후 13년 이상의 정보보호 관련 경력이 있는 사람







 ・ 고급 자격 기준 취득 후 3년 이상 정보보호 경력이 있는 사람
 기타  ※ 정보통신유관경력은 정보보호유관경력 50%로 인정한다(단, 정보보호유관경력은 정보통신유관경력과 중복인정 안됨).
※ 자격 및 학위 취득 이전의 정보보호유관경력은 50%를 인정한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정보보호전문가(SIS) 2급 자격을 취득한 자는 유관 자격 또는 유관 학력의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초급 기술자로 인정하며, SIS 1급은 기사 자격에 준하여 인정한다(단, 비고 “5호”의 “가” 항목과 중복인정 안됨).
※ 국내외 해킹방어대회 입상자는 전문위원회 심의를 통하여 유관 자격 또는 유관 학력의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중급 기술자 이상으로 인정할 수 있다.

 

 

<비고>

 

1. “관련자격”이란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 별표 7에 따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또는 방송통신위원회 검정의 소관으로 하는 전자계산기, 정보통신, 통신설비, 통신기기, 통신선로, 정보기기운용, 전파통신, 전파전자, 무선설비, 방송통신, 정보관리, 정보처리, 사무자동화 및 전자계산조직응용 종목의 기술자격을 말한다.

 

2. “관련학력”이란 「고등교육법」에 따른 해당 학교에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학과에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하거나 그 밖의 관계법령에 따라 국내 또는 외국에서 이와 같은 수준 이상으로 인정되는 학력을 말한다.

 

가. 전자 관련 학과: 정보전자, 전자, 전자계산, 전기전자제어, 전자정보, 전자제어, 전기전자, 전자전기정보, 전자컴퓨터전기제어, 컴퓨터과학, 전기전자정보, 전자컴퓨터, 메카트로닉스, 전자재료, 제어계측, 반도체 

 

나. 정보통신 관련 학과: 전기통신설비, 국제정보통신, 방송설비, 방송통신, 이동통신, 전자통신, 컴퓨터네트워크, 통신, 컴퓨터정보기술, 전파통신, 전기전자통신, 전기전자정보통신, 전자정보통신, 전자제어통신, 전자통신, 전파, 전파통신, 정보통신, 컴퓨터통신, 항공통신정보, 전자정보통신반도체, 전기전자전파, 통신컴퓨터, 무선통신 

 

다. 정보처리기술 관련 학과: 시스템, 전산, 정보전산, 컴퓨터제어, 컴퓨터응용제어, 컴퓨터응용, 컴퓨터응용설계, 구조시스템, 컴퓨터정보, 멀티미디어, 정보시스템, 전산통계, 정보처리

 

라. 그 밖에 교육부장관이나 해당 교육기관의 장으로부터 전자․통신 및 정보처리기술․정보보호 관련 학과로 인정받은 학과

 

3. “정보통신 유관경력”이란 공공기관, 민간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정보통신서비스(기간통신, 별정통신, 부가통신, 방송서비스 등을 말한다), 정보통신기기(정보기기, 방송기기, 부품 등을 말한다) 또는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패키지 소프트웨어, 컴퓨터 관련 서비스, 디지털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작 및 검색 등을 말한다)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계획․분석․설계․개발․운영․유지보수․컨설팅․감리 또는 연구개발 업무 등을 수행한 기간을 말한다. 

 

4. “정보보호 유관경력”이란 공공기관, 민간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정보보호를 위한 공통기반기술(암호 기술, 인증 기술 등을 말한다), 시스템․네트워크 보호(시스템 보호, 해킹․바이러스 대응, 네트워크 보호 등을 말한다) 또는 응용서비스 보호(전자거래 보호, 응용서비스 보호, 정보보호 표준화 등을 말한다)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계획․분석․설계․개발․운영․유지보수․컨설팅 또는 연구개발 업무 등을 수행한 기간을 말한다.

 

5.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격증을 보유한 자는 정보보호유관경력 1년으로 인정하되, 중복 인정은 할 수 없다.(정보보호 관련 국내외 인정 자격 또한 다음 각 목과 같으며, 정보보호유관경력과는 중복 인정되지 아니한다.)

 

가. 정보시스템감리사

나. 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CISA: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다. 공인정보시스템보호전문가(CISSP: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rofessional)

라. 정보보호전문가(SIS: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마. 정보보안기사, 정보보안산업기사

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사. 전자정부정보보호관리체계(G-ISMS: Governmen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아.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심사원

 

6. 제7조제1항제1호에 따른 기술인력은 신원조사에서 국가 안전보장에 유해한 정보가 있음이 확인되면 기술인력으로 인정되지 아니한다.

 

(제2016-0516호) 보안관제 전문기업 지정 등에 관한 공고 개정.hwp
다운로드

 

 

'IT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북  (0) 2017.02.27
갤럭시탭 프로 S2(갤럭시 북) 스펙  (0) 2017.02.09
로그분석 툴  (0) 2016.12.02
GVIM  (0) 2016.12.02
화면잠금 아이콘 만들기  (0) 2016.11.14

◎ 로그분석 툴 - Log Parser

logparser는 Microsoft직원인 Gabriele Giuseppini가 처음으로 IIS로그를 자동화하기 위해 작성한 유연한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logparser는 Windows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도록 설정되었으며 IIS 6.0 Resource Kit Tools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logparser의 기본 동작은 command line에서 SQL 표현식을 사용하여 "data processing pipeline"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며,

SQL 표현식과 일치하는 라인을 포함하여 출력합니다.


Microsoft는 XML파일, CSV파일, Windows운영 체제, 레지스트리, 파일 시스템, ActiveDirectory등의 주요 데이터 소스와 로그 파일과 같은 텍스트 기반 데이터에 대한 일반적인 쿼리 액세스를 제공하는 강력하고 다용도적인 툴이라고 설명합니다.


입력 쿼리의 결과는 텍스트 기반 출력으로 다시 컴파일할 수 있으며, 아니면 SQL, SYSLOG 또는 차트와 같은 보다 특별한 출력이 가능합니다.


[다운로드 경로]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displaylang=en&id=24659


GUI 로그분석 툴 - Log Parser Studio : log paser 설치 후 사용 가능

[다운로드 경로]

https://gallery.technet.microsoft.com/Log-Parser-Studio-cd458765


※ 기본적으로 SQL을 알아야 사용 할 수 있음.

◎ 윈도우용 vi편집기 GVIM


Vim(Vi IMproved)은 Bram Moolenaar가 만든 vi 호환 텍스트 편집기입니다.

CUI용 Vim과 GUI용 gVim이 있으며 본래 아미가 컴퓨터 용 프로그램이었으나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리눅스, 맥 오에스 텐을 비롯한 여러 환경을 지원합니다.


Vim은 vi와 호환되면서도 독자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습니다.

특히 #Vim 스크립트 등을 사용해서 자유롭게 편집 환경을 변경하거나, 확장된 정규 표현식 문법, 강력한 문법 강조 기능, 다중 되돌리기, 유니코드를 비롯한 다국어 지원, 문법 검사 등을 쓸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힙니다.

한편으로는 vi와 마찬가지로 처음에 배우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쉬운 Vim 모드를 지원합니다.


vi처럼 Vim도 CUI(명령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며, gVim이라는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프로그램에는 메뉴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툴바를 추가했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기능은 CUI방식을 이용합니다.


Vim은 초보자를 위한 내장 설명서가 있는데 터미널에서 'vimtutor'라는 명령어로 이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Vim에서 :help라는 명령어로 명령어나 기능을 검색해 볼 수도 있습니다.


[다운로드 경로]

http://www.vim.org/download.php





 1. 바탕화면에서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ㄴ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새로 만들기(W)' -> '바로 가기(S)' 클릭



 2. 항목 위치 입력 란에 아래와 같이 입력

  ㄴrundll32.exe user32.dll,LockWorkStation



 3. 아이콘 변경

  ㄴ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속성->바로가기 탭에서  아이콘 변경 클릭

  ㄴ찾아보기에서 shell32.dll 선택 후 아이콘 변경 



 4. 바로가기 항목 이름 변경



'IT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분석 툴  (0) 2016.12.02
GVIM  (0) 2016.12.02
삼성 포터블 SSD T1/T3 인식 문제  (0) 2016.10.28
기어S2 배터리 무상교체  (0) 2016.10.12
SKB IPTV와 공유기 연결  (0) 2016.10.11

24년 5월 18일 윈도우10 22H2 19045.4412에서 데이터보안 모드 사용가능한 부분 확인했습니다.

다만 삼성사이트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 첨부합니다.

바이러스토탈에서 검사 시 문제 없습니다.

Samsung Portable SSD Daemon.exe를 실행한 상태에서

Samsung Portable SSD T1.exe를 사용하면 데이터보안 모드 로그인 창이 뜹니다.

Samsung Portable SSD.zip은 위에 프로그램 미 실행 상태에서 SSD를 연결했을 때 SSD에서 보이는 파일을 압축한 파일입니다.

Samsung Portable SSD Daemon.exe
2.21MB
Samsung Portable SSD T1.exe
15.04MB
Samsung Portable SSD.zip
6.71MB

 


[old]
삼성 포터블 SSD T1을 데이터보안 모드로 사용 중입니다.
어느 날인가 PC에 연결했는데 암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안 나오더군요
윈도업데이트 후부터 안 되는데
삼성에서 자동실행돼야 하는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samsung.com/semiconductor/minisite/ssd/download/tools.html 에 접속 후
ACTIVATION SOFTWARE에서 해당하는 기기의 사용 중인 OS 버전용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실행하면
데이터보안 로그인 화면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IT >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GVIM  (0) 2016.12.02
화면잠금 아이콘 만들기  (0) 2016.11.14
기어S2 배터리 무상교체  (0) 2016.10.12
SKB IPTV와 공유기 연결  (0) 2016.10.11
갤럭시 노트5 배터리 무상교체  (0) 2016.10.10

갤럭시 노트5와 함께 기어S2를 구매한 지 1년이 다 되어갑니다.

갤럭시 노트5 배터리 교체 후

기어S2도 1년 내 배터리가 무상교체라고 하여 바로 교체하려고 하였으나

서비스센터에 기어S2 배터리 재고가 없어서 콜센터에 신청 후 방문하라고 하여

어제 서비스센터에 배터리가 도착했는데 문자를 받고 오늘 서비스센터에 가서 교체하였습니다.

기어S2의 경우 배터리 효율점검을 할 수 있는 장비가 없다고 하네요.

아무튼 배터리 무상교체 기간을 이용할 수 있어서 좋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