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s 11 시작 메뉴의 웹(Bing) 검색 기능을 완전히 끄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는 해외 기술 자료·사이트에 기반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들입니다.

 

1. 레지스트리(Registry) 편집기 사용 (Home/Pro/Enterprise 공통)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regedit 입력 후 Enter.


아래 경로로 이동: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Search

오른쪽 빈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 New > DWORD(32비트) 값 선택.


이름을 BingSearchEnabled로 지정.
값을 0(숫자 0)으로 설정.


추가로, 같은 경로에
DWORD(32비트) 값으로 CortanaConsent를 만들고 값도 0으로 하면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PC 재시작.

2. 그룹 정책 편집기(Group Policy Editor) 사용 (Pro/Enterprise 한정)
Win + R 키 → gpedit.msc 입력 후 Enter.


경로 이동: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검색

01


항목 중에서
“웹 검색 허용 안 함(Do not allow web search)”
“Don’t search the web or display web results in Search”

두 정책을 모두 Enabled(사용)”로 설정.

01


적용 후 시스템 재시작 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gpupdate /force 실행.


3. 추가 고급 레지스트리 방법 (웹 검색 제안까지 완전 차단)
아래 경로 이동: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01


Explorer라는 키가 없으면 새로 만들어 들어감.
오른쪽에서 New > DWORD(32비트) 값 → DisableSearchBoxSuggestions 이름으로 새로 만듦.

값을 1로 설정.


PC 재시작.

4. 설정 앱을 통한 제한적 방법 (MS 계정 동기화 웹검색만 차단)
설정 > Privacy & Security > Search Permissions 이동.


“Microsoft 계정”, “Work/School 계정” 토글을 OFF로 변경.



참고
레지스트리 편집 전 꼭 백업을 권장합니다.
Home 버전은 그룹 정책 편집기가 기본 제공되지 않습니다. 위의 레지스트리 방식이 보편적입니다.
이 설정을 마치면 시작 메뉴 검색에서 Bing이나 웹 결과가 뜨지 않고, 로컬 파일 및 앱만 검색됩니다.

◎ 개요
Windows 11에서 OpenSSH 서버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은 원격 관리와 보안 연결을 위해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OpenSSH는 기본적으로 Windows 10 (1809 버전 이후)와 Windows 11에서 선택적 기능으로 제공되며, 별도의 타사 소프트웨어 없이도 SSH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OpenSSH 서버 설치하기
1.1 GUI를 통한 설치

 - Windows 11에서 OpenSSH 서버를 설치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설정 메뉴를 통하는 것입니다:

설정 > 시스템 > 선택적 기능으로 이동합니다

  • "기능 보기"를 클릭합니다
  • "OpenSSH 서버"를 검색하고 선택합니다
  • "다음" 버튼을 클릭한 후 "설치"를 선택합니다

012345

 

 

1.2 PowerShell을 통한 설치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실행하고 다음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OpenSSH 서버 설치
> Add-WindowsCapability -Online -Name OpenSSH.Server~~~~0.0.1.0


 - 설치 확인을 위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Get-WindowsCapability -Online | Where-Object Name -like 'OpenSSH*'


2. OpenSSH 서비스 구성 및 시작
2.1 서비스 시작하기
 - 설치가 완료되면 OpenSSH 서비스를 시작해야 합니다:

# SSH 서비스 시작
> Start-Service sshd

# 자동 시작 설정 (선택사항)
> Set-Service -Name sshd -StartupType Automatic


2.2 GUI를 통한 서비스 관리

  • 시작 메뉴 > services.msc 검색 후 실행
  • "OpenSSH SSH Server" 서비스를 찾습니다
  • 서비스를 우클릭하여 "속성"을 선택합니다
  •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3. 방화벽 구성
OpenSSH 서버 설치 시 일반적으로 방화벽 규칙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하지만 확인이 필요합니다:

# 방화벽 규칙 확인
if (!(Get-NetFirewallRule -Name "OpenSSH-Server-In-TCP" -ErrorAction SilentlyContinue | Select-Object Name, Enabled)) {
    Write-Output "Firewall Rule 'OpenSSH-Server-In-TCP' does not exist, creating it..."
    New-NetFirewallRule -Name 'OpenSSH-Server-In-TCP' -DisplayName 'OpenSSH Server (sshd)' -Enabled True -Direction Inbound -Protocol TCP -Action Allow -LocalPort 22
} else {
    Write-Output "Firewall rule 'OpenSSH-Server-In-TCP' has been created and exists."
}


4. 기본 SSH 연결 테스트
설치가 완료되면 로컬에서 SSH 연결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ssh localhost
# 또는
> ssh username@127.0.0.1


원격 컴퓨터에서 연결하려면:

> ssh username@server-ip-address


5. OpenSSH 서버 구성 설정
5.1 구성 파일 위치
 - OpenSSH 서버의 구성 파일은 C:\ProgramData\ssh\sshd_config에 위치합니다. 이 파일을 통해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5.2 포트 변경

 - 기본 SSH 포트 22를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 관리자 권한으로 C:\ProgramData\ssh\sshd_config 파일을 편집합니다
  • #Port 22 줄을 찾아 주석을 제거하고 원하는 포트로 변경합니다:
Port 2022


SSH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 Restart-Service -Force -Name sshd


6. 공개키 인증 설정
6.1 SSH 키 생성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공개키 인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ED25519 키 생성 (권장)
ssh-keygen -t ed25519

# RSA 키 생성 (호환성을 위해)
ssh-keygen -t rsa -b 4096



6.2 공개키 배포

 - 일반 사용자의 경우:\

  > 공개키를 C:\Users\username\.ssh\authorized_keys 파일에 복사합니다

 - 관리자 사용자의 경우:

  > 공개키를 C:\ProgramData\ssh\administrators_authorized_keys 파일에 복사합니다

 

7. 보안 고려사항
7.1 비밀번호 인증 비활성화
 - 공개키 인증을 설정한 후 비밀번호 인증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sshd_config 파일에서
PubkeyAuthentication yes
PasswordAuthentication no


7.2 접근 제한
특정 사용자나 그룹만 SSH 접근을 허용하려면:

AllowUsers username1 username2
AllowGroups sshusers


8. 문제해결
8.1 서비스 시작 실패

 - OpenSSH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는 경우:

  > 구성 파일 오류 확인:

# 구성 파일 문법 검사
> sshd -t


  > 권한 재설정:

> icacls "C:\ProgramData\ssh" /grant "NT SERVICE\SSHD:(OI)(CI)F" /T


8.2 연결 거부 오류

 - SSH 연결이 거부되는 경우:

  • 방화벽 설정 확인
  • 포트 번호 확인
  • 사용자 자격 증명 확인
  • SSH 서비스 상태 확인

 

9. 고급 설정
9.1 기본 셸 변경
 - 기본 명령 셸을 PowerShell로 변경하려면:

> New-ItemProperty -Path "HKLM:\SOFTWARE\OpenSSH" -Name DefaultShell -Value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powershell.exe" -PropertyType String -Force


9.2 로그 설정
 - 디버깅을 위해 로그 레벨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sshd_config 파일에서
LogLevel DEBUG


◎ 결론
Windows 11에서 OpenSSH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과정입니다. 적절한 보안 설정과 함께 사용하면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격 관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보안 모범 사례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년 Microsoft Build 컨퍼런스에서 Windows Subsystem for Linux(WSL)의 오픈소스화를 발표한 이후, 첫 번째 오픈소스 버전인 WSL 2.6.0이 프리릴리즈로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릴리즈는 WSL의 9년 여정에서 가장 중요한 이정표로, 개발자 커뮤니티에게 완전히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 WSL 오픈소스화의 역사적 의미
 - Build 2025에서의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는 2025년 5월 19일 Microsoft Build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WSL의 완전한 오픈소스화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WSL GitHub 저장소에서 제기된 첫 번째 이슈인 "이것이 오픈소스가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최종적인 답변이기도 합니다.
  > CEO 사티아 나델라는 기조연설에서 오픈소스 이니셔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WSL 오픈소스화를 통해 투명성 향상, 커뮤니티 협업 촉진, 혁신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 MIT 라이선스 하에서의 공개
  > WSL은 MIT 라이선스 하에 공개되어 누구나 소스 코드를 검토하고, 수정하며, 프로젝트에 직접 기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 원칙을 수용하고 개발자 커뮤니티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WSL 2.6.0의 주요 개선사항
 - 안정성 및 버그 수정
WSL 2.6.0은 다양한 안정성 개선과 함께 여러 중요한 버그 수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다국어 문자열 업데이트: 현지화된 문자열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배포판 등록 해제 개선: BasePath가 존재하지 않는 배포판을 등록 해제할 때 예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정 (이슈 #13004 해결)
  • 다운로드 오류 수정: URL에 매개변수가 포함된 경우 배포판 다운로드가 실패하는 문제 해결
  • systemd 사용자 세션 문제 해결: systemd 사용자 세션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 수정 (이슈 #13053 해결)

 

 - 시스템 레벨 개선

  • wslsettings 안정성: wslservice에서 호출할 때 wslsettings가 충돌하는 문제 수정
  • VHD 이동 최적화: 배포판 VHD 이동 시 MOVEFILE_WRITE_THROUGH 설정으로 안정성 향상 (이슈 #13055 해결)
  • hosts 파일 파싱 개선: Windows 'hosts' 파일 파싱 시 BOM 헤더 무시 (이슈 #9642 해결)
  • 디스크 오류 보고: mount()가 EUCLEAN으로 실패할 때 손상된 디스크를 올바르게 보고 (이슈 #13074 해결)

 

◎ WSL의 기술 아키텍처
 - 오픈소스화된 구성 요소
WSL의 아키텍처는 여러 분산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이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 Windows에서 실행되는 구성 요소:

  • 명령줄 실행 파일: wsl.exe, wslconfig.exe, wslg.exe - WSL과 상호작용하는 진입점 역할
  • WSL 서비스: wslservice.exe - WSL VM 시작, 배포판 관리, 파일 액세스 공유 마운트 등을 담당

 

 - Linux VM 내부에서 실행되는 구성 요소:

  • init 및 데몬 프로세스: 시작용 init, 네트워킹용 gns, 포트 포워딩용 localhost 등
  • 파일 공유: WSL의 plan9 서버 구현을 통한 Linux-Windows 간 파일 공유

 

 - 여전히 비공개인 구성 요소
  > 일부 구성 요소는 Windows 이미지의 일부로 남아있어 현재로서는 오픈소스화되지 않았습니다:

  • Lxcore.sys: WSL 1을 구동하는 커널 측 드라이버
  • P9rdr.sys 및 p9np.dll: "\wsl.localhost" 파일시스템 리디렉션을 실행하는 구성 요소

 

◎ 개발자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 커스터마이제이션과 기여 기회

  > 오픈소스화를 통해 개발자들은 자신의 특정 요구에 맞게 WSL을 커스터마이즈하고, 버그를 더 빠르게 수정하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더 나은 성능, Linux 서비스와의 향상된 통합, 그리고 크로스 플랫폼 작업을 위한 더 강력한 도구셋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보안 강화

  > 오픈 소스 코드베이스에 대한 공개적인 검토는 취약점의 식별과 패치로 이어져 보안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의 집단적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WSL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호환성 개선

  > 커뮤니티 기여는 호환성 문제를 더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다양한 Linux 배포판과 개발 도구와의 더 나은 통합을 의미합니다.

 

◎ WSL의 진화 과정
 - WSL 1에서 WSL 2로의 전환

  > WSL은 2016년 Microsoft Build에서 처음 발표되어 Windows 10 Anniversary Update와 함께 출시되었습니다. 초기 WSL 1은 lxcore.sys라는 호환성 레이어를 사용하여 Linux 시스템 콜을 Windows NT 커널과 통신할 수 있도록 번역했습니다.

  > 2019년에는 실제 Linux 커널을 경량 가상 머신에서 실행하는 WSL 2가 출시되어 성능 향상, GPU 지원, systemd 지원, 그리고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실행 능력 등 상당한 개선을 제공했습니다.

 

 - 독립형 패키지로의 분리

  > 2021년 마이크로소프트는 WSL을 Windows 코드베이스에서 분리하여 Microsoft Store에서 독립형 패키지로 게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확장되는 커뮤니티와 기능 요청에 대응하기 위해 WSL을 더 빠르게 개발하고 Windows와 별도로 릴리즈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 실무적 활용과 장점
 - 향상된 성능:
  > 파일 시스템 성능 개선: WSL 2에서 파일 시스템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는데, WSL 2.6에서는 리눅스와 Windows 간 파일 시스템 접근 속도가 더욱 빨라졌습니다. 특히, Windows에서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속도와, 그 반대의 속도가 개선되었습니다.
  > 메모리 관리 향상: WSL 2의 메모리 관리가 더 효율적이게 되어,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더 많은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더 나은 통합:
  > Linux GUI 애플리케이션 지원 강화: WSL 2.6에서 리눅스 GUI 애플리케이션을 Windows에서 실행하는 경험이 더욱 매끄럽고 효율적으로 바뀌었습니다. 특히 X 서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Windows에서 직접 GUI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 WSLg (WSL GUI) 업데이트: Windows에서 리눅스 GUI 애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처럼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 더 좋아졌습니다.

 - 네트워크 성능 및 안정성 개선:
  > IP 주소 충돌 문제 개선: WSL 2와 호스트 시스템(Windows) 간 네트워크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충돌을 줄여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 향상된 네트워크 성능: 네트워크 성능도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네트워크 대역폭을 더 잘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통합 개발 도구 개선:
  > VS Code와의 통합 강화: WSL 2.6에서는 Visual Studio Code와의 통합이 더 강력해져, Windows와 리눅스 환경 간의 개발 작업이 더 원활해졌습니다.
  > 새로운 디버깅 기능: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할 때, 디버깅 기능이 더 좋아졌습니다. 다양한 개발 도구와 디버거를 Windows와 리눅스 간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

 - 기타 변경 사항:
  > 파일 시스템 접근 방식 개선: Windows와 리눅스 파일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더 많은 배포판 지원: 추가적인 리눅스 배포판을 WSL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 향후 전망
 - 커뮤니티 주도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는 "WSL은 커뮤니티 없이는 오늘날의 모습이 될 수 없었다"고 강조하며, 소스 코드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사람들이 WSL의 현재로 이어지는 큰 기여를 해왔다고 인정했습니다. 이제 커뮤니티가 프로젝트에 직접 코드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어 WSL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혁신과 기능 확장
  > 오픈소스화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혁신적인 솔루션과 개선사항이 나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개발자들은 이제 WSL의 내부를 탐색하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며, 기능을 직접 기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결론
 - WSL 2.6.0의 오픈소스 릴리즈는 단순한 버전 업데이트를 넘어 WSL 생태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러한 결정은 개발자 친화적인 플랫폼으로서 Windows의 진화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며, 커뮤니티 주도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 앞으로 WSL은 커뮤니티의 참여를 통해 더욱 강력하고 유연한 도구로 발전할 것이며, Windows와 Linux 환경 사이의 다리 역할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개발자들에게는 이제 WSL의 미래를 직접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셈입니다.

 

https://github.com/microsoft/WSL/

 

Release 2.6.0 · microsoft/WSL

First open source release of WSL Various stability improvements Update localized strings Don't throw when unregistering a distro that has a BasePath that doesn't exist (solves #13004) Fix distribu...

github.com

 

https://github.com/microsoft/WSL/releases/tag/2.6.0

설치버전을 다운받아서 바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저전력 CPU 태블릿을 사용 중인데, 별도 전원으로 사용하는 도킹 외장하드(SKY 16T 듀얼독)를 연결하면 1분도 안지났는데 절전모드가 동작해서 답답하다보니 SKY 16T 듀얼독 펌웨어로 unsleep 모드를 적용도 해보고, 레지스트리도 변경해봤지만 해결이 안되더군요.

결국은 윈도우 자체 USB 대용량 저장 장치 전원관리 설정을 변경해서 해결했습니다.

 

[설정변경방법]

1) 장치관리자 실행(4가지 방법)

1-1) 윈도우 탐색기 실행 - 내 PC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속성 선택 - 화면 오른쪽 장치관리자 클릭

1-2) 또는 윈도우 시작에서 마우스 왼쪽 클릭 후 설정 선택 - 시스템 - 정보(최하단) 선택

또는 윈도우 시작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설정 선택 - 시스템 -정보(최하단) 선택

1-4) 또는 윈도우키 + R 화면에서 devmgmt.msc 실행

 

2) 장치관리자 - 보기(V) - 연결별 디바이스(V) 선택

 > ACPI x64 기반 PC
   > Microsoft ACPI-Compliant System 
     > PCI Express 루트 복함 
       > Intel(R) USB 3.0 확장 가능한 호스트 컨드롤러 - 1.0(Microsoft)
         > 일반 SuperSpeed USB 허브
           > USB 대용량 저장 장치 마우스 오른쪽 속성 클릭


전원관리 탭에서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체크 해제 후 확인 클릭

[원격 데스크톱 연결 설정]

1. 연결하려는 PC를 원격 연결이 허용되도록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세요.

◎ 파일 탐색기 -> 내 PC(마우스 오른쪽) -> 속성 -> 원격 데스크톱 -> 켬

01234

또는

◎ 시작(마우스 오른쪽) -> 설정 -> 원격 데스크톱 -> 켬

01234

 

[원격 데스크톱 포트 변경 방법]

◎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Windows 컴퓨터에서 해당 수신 포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시작합니다. (window 키 + R -> 실행 -> regedit)

2. 다음 레지스트리 하위 키로 이동합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3. PortNumber를 찾습니다.

PortNumber 더블클릭, 10진수 선택

4. 새 포트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방화벽 설정 변경]
방화벽을 사용하는 경우 새 포트 번호로의 연결을 허용하도록 방화벽을 구성해야 합니다.
◎ window 키 + R -> 실행 -> wf.msc

 

또는

◎ window 키(마우스 오른쪽) -> 설정 검색-> 방화벽

0123

1. 새 수신 포트에 대해 인바운드 규칙 선택한 다음 새 규칙 을 선택합니다.

2. 새 인바운드 규칙 마법사 에서 포트 를 선택한 후 다음 을 선택합니다.

3. 프로토콜은 TCP 를 선택하고, 특정 로컬 포트에 원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을 선택합니다.

4. 연결 허용 을 선택한 후 다음 을 선택합니다.

5. 원격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종류를 포함해 사용할 네트워크 유형을 하나 이상 선택하고 다음 을 선택합니다.

6. 규칙의 이름(예: 원격 데스크톱)을 추가하고 마침을 선택합니다.

7. 새 규칙이 인바운드 규칙 목록에서 표시되어 선택되어 있어야 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방법]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설정한 PC에 연결합니다.
 window 키 + R -> 실행 -> mstsc

1.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여 접속할 PC의 IP와 PORT 번호를 입력합니다.(예: 192.168.0.1:9999)

2. 원격 데스크톱 연결 화면에서 연결을 선택합니다.

3. 사용자 자격 증명 입력화면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합니다.

4. 원격 데스크톱 연결 화면에서 예를 선택합니다.

[Microsoft 계정 사용 시]
◎ 윈도우키+X를 누르고 설정 클릭
계정 - 사용자 정보 - 계정 설정으로 이동하여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클릭 후 계정을 생성합니다.

0123

[PIN 로그인에서 암호방식으로 로그인 방식 변경 시]
◎ 윈도우키+X를 누르고 설정 클릭
계정 - 로그인 옵션에서 PIN 제거를 클릭합니다.


[로컬 계정 사용 시]
◎ Administrator 계정 활성화
윈도우키+X를 누르고 Windows 터미널(관리자) 실행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실행

로그아웃 후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인 후

01

아래 작업 진행

[사용자 계정 변경]
◎ 사용자 계정(netplwiz) 실행
윈도우키+R를 누르고 netplwiz 실행


사용자 이름에서 현재 사용자 계정명 더블클릭 후


일반 탭 - 사용자 이름에서 계정명 변경

그룹 등록 탭에서 관리자 확인 후 적용(표준 사용자이면 관리자 선택 후 적용)



◎ 로컬 사용자 및 그룹(lusrmgr.msc) 실행
윈도우키+R를 누르고 lusrmgr.msc 실행


로컬 사용자 및 그룹(로컬) - 사용자 클릭 후 오른쪽에서 현재 사용자 계정명 클릭 - 마우스 오른쪽 이름 바꾸기 클릭 후 계정명 변경


사용자 계정에서 더블클릭 후 소속 그룹 탭에서 Administrators 확인


Home 버전은 로컬 사용자 및 그룹(lusrmgr.msc) 없기 때문에 github에서 lusrmgr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

[사용자 폴더명 변경]
◎ 레지스트리에서 사용자 폴더명 변경
윈도우키+R를 누르고 regedit 실행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ofileList 하위키(Subkey) 목록에서 S-1-5-21-숫자 중 ProfileImagePath 에 현재 사용 중인 폴더 명을 찾습니다.


더블클릭 후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합니다.

 

◎ 작업관리자 실행

사용자 탭에서 사용자 계정을 로그오프합니다.


◎ Windows 터미널(관리자) 실행
윈도우키+X를 누르고 Windows 터미널(관리자)

C:\Users 디렉토리로 이동 후
C:\Users> ren "현재 이름" "바꿀이름"


[마무리]
Administrator 로그아웃 후 로컬계정으로 로그인 후
◎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
윈도우키+X를 누르고 Windows 터미널(관리자) 실행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no 실행

012345678910111213

[클린설치 1단계]

◎ Windows 설치 처음화면에서 다음으로 넘어가면 지금 설치 화면이 보입니다.

◎ Windwos 정품 인증 화면

제품 키를 입력하거나 제품 키가 없음을 클릭하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 설치할 운영 체제 선택

보통 Pro 버전으로 설치하는게 무난합니다.

◎ 관련 통지 및 사용 조건

사용 조건에 동의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설치 유형을 선택하세요.

클린설치니까 사용자 지정: Windows만 설치(고급)을 클릭합니다.

◎ Windows를 설치할 위치를 지정하세요.

전체크기를 분할없이 사용한다면 다음을 클릭하면 알아서 만들어줍니다

분할해서 사용한다면 새로만들기를 클릭하고, 원하는 크기를 정하고 적용을 누르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Windows 설치 중

설치가 완료될때까지 기다려주세요.

◎ 계속하려면 Windows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다시 시작을 클릭하거나 기다리면 자동으로 재시작됩니다.

 

012345678910

[클린설치 2단계]

◎ 이 국가 또는 지역이 맞나요?

한국을 선택하고 예를 클릭합니다.

◎ 이게 올바른 키보드 종류 또는 입력 방법인가요?

Microsoft 입력기를 클릭하고 예를 클릭합니다.

◎ 두 번째 키보드 레이아웃을 추가할까요?

건너뛰기를 클릭합니다.

◎ 업데이트를 확인 중입니다.

기다리면 넘어갑니다.

◎ 최신 버전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기다리면 넘어갑니다.

◎ 좋은 일이 생길 것입니다.

^^;;

◎ 거의 다 되었습니다. 이 단계를 완료하고 있습니다.

기다리면 넘어갑니다.

◎ PC 이름 지정하기

PC 이름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하거나 지금은 건너뛰기를 클릭합니다.

◎ 이 디바이스를 어떻게 설정하겠습니까?

개인용 설정 / 회사 또는 학교용으로 설정 중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01234567

[클린설치 2단계 - 로컬계정 생성]

◎ Microsoft 계정을 추가해보겠습니다.

윈도우 11의 경우 로컬계정으로 설치하는 옵션이 사라졌기 때문에 Microsoft 계정추가 화면에서 랜선을 뽑고 뒤로가기를 클릭하면 로컬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로컬계정을 생성한 뒤 랜선을 연결하면 됩니다.

로컬계정 생성을 막으려고 한건지 랜선을 뽑아도 로컬계정 생성을 할 수가 없습니다.

대신 아무 이메일 계정(ex. a@a.com)을 입력하고 아무 비밀번호나 입력하면 계정에 문제가 있다고 로컬계정 생성화면으로 넘어갑니다.

01234

설치단계에서 shitf+F10을 누르고 cmd창에 oobe\bypassnro 엔터치면 재부팅되고 로컬계정 생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 랜선을 뽑은 상태이거나 랜선이 꽂혀 있더라도 IP를 수동으로 설정해야되는 환경이 아닌 랜선이 꽂힌 상태에 자동 IP설정인 경우 계속 Microsoft 계정생성 화면이 진행되니 주의바랍니다.

 

 

012345

[클린설치 2단계]

◎ Microsoft 및 앱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하도록 허용

예 또는 아니로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 내 장치 찾기

예 또는 아니로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 진단 데이터를 Microsoft에 보내기

선택 항목 포함 또는 필수 요소만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 수동 입력 및 타이핑 개선

예 또는 아니로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 진단 데이터를 사용한 맞춤형 환경 사용

예 또는 아니로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 앱에서 광고 ID를 사용하도록 허용

예 또는 아니로 선택 후 수락을 클릭합니다.

 

01

[클린설치 3단계]

재부팅되면 마무리작업 후 로컬계정으로 윈도우에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2015년 이그나이트 컨퍼런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직원 제리 닉슨은 윈도우 10이 "마지막 버전의 윈도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21년 6월에 윈도우(Windows) 11 프리뷰 버전을 배포하였고, 2021년 10월 5일 한국시간 16시에 Windows 11 정식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수명주기 페이지에 따르면, 기존까지는 윈도우 10의 특정 버전에 대한 지원 종료 기간만 명시되어 있었으나, 공식적으로 윈도우 10 전체 제품군에 대한 지원 종료 기간이 2025년 10월 14일까지로 밝혀졌습니다.
윈도우 11은 윈도우 10 사용자라면 업데이트를 통해 무료 이용이 가능 하지만 업데이트나 클린설치 전 시스템 요구 사항을 확인해야 하며, PC 상태 검사 앱으로 자신의 PC가 지원 대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나 미지원 CPU 사용자라고 하더라도 TPM 1.2만 지원하면 ISO 이미지를 통한 클린 설치는 막지 않기 때문에 ISO를 다운로드하여 USB에 담아 클린 설치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존에 알려졌던 아마존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앱은 아직까지 사용할 수 없으며, 안드로이드 앱 사용 시점 역시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스템 최소 사양]
윈도우 10 버전 20H1 (2004) 이상
인텔 8세대 또는 라이젠 2세대 이상(SSE4.1, 하이퍼바이저 지원).
TPM 1.2 이상
다이렉트X 12 지원
4GB 이상의 RAM 필요
2개 이상의 코어가 장착된 1GHz 이상의 호환되는 64비트 프로세서 또는 SoC(System on a Chip).
(원도우 역사상 최초의 32버전 미출시)

[에디션]
윈도우 11 홈
윈도우 11 프로
윈도우 11 프로 for 워크스테이션
윈도우 11 엔터프라이즈
윈도우 11 에듀케이션
윈도우 11 프로 에듀케이션

[이전 버전과 차이점]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없어짐
앱의 모서리가 macOS 스타일로 둥글어짐.(전체 화면 실행 시 뾰족해짐)
작업 표시줄의 아이콘이 기본적으로 가운데로 옮겨짐(설정에서 위치를 왼쪽으로 변경 가능).
메모장, 그림판, 설정, 파일 탐색기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변경됨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가 새롭게 바뀌었음
설치 시 레거시 BIOS가 아닌 UEFI가 필요하고, TPM 1.2 보안 모듈이 필요
시작 메뉴가 달라짐
32비트를 지원하지 않고, 64비트만 지원
그림판 프로그램이 새롭게 바뀜 등

 > 시스템 복원지점 만들기

  - 시작메뉴에서 복원 지점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 시스템 속성의 시스템 보호 탭에서 만들기가 비활성되어 있다면 보호설정 대상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구성을 선택합니다.

  - 구성에서 복원 설정 - 시스템 보호 사용을 선택합니다.

  - 시스템 속성의 시스템 보호 탭에서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 복원 지점에 대한 설명을 입력한 다음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 복원 지점이 만들어졌습니다.

◎ Windows 터미널이란?

Windows 터미널은 명령 프롬프트, PowerShell 및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과 같은 명령줄 도구 및 셸 사용자를 위한 최신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주요 기능에는 여러 탭, 창, 유니코드 및 UTF-8 문자 지원, GPU 가속 텍스트 렌더링 엔진, 사용자 고유의 테마를 만들고 텍스트, 색, 배경 및 바로 가기를 사용자 지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Windows 터미널 설치

 > 설치

  - Microsoft Store에서 Windows 터미널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첫 실행
  - 설치 후 터미널을 열 때 열기 탭의 기본 프로필로 PowerShell을 시작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