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5를 구매한 지 1년이 다 되어갑니다.

배터리 교체가 1년 내 무상교체라고 하여 서비스센터에 가서 교체를 요청하였습니다.

원래는 배터리 효율을 점검하고 문제가 있을 시에만 교체해준다고 하나,

1년이 다되어가기 때문에 교체해주시겠다고 해서 교체를 받았네요.

p.s. 서비스센터 직원분들에 따라 배터리에 문제가 없으므로 교체가 안된다고 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2016년도 글이다 보니 내용을 추가해봅니다.

요즘은 윈도우 자체적으로 가상키보드와 가상마우스를 지원하다보니 별도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보입니다.

아래부터는 2016년도 글입니다.

 

 

◎ TouchMousePointer

윈도우 태블릿에 가상 터치패드를 생성하여 정교한 마우스 클릭이 가능합니다.

 

 

 ▷ 설치파일은 링크주소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 한글패치 파일은 아래 주소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https://groups.google.com/forum/#!forum/touchmousepointer-mui

 

 

◎ URL Monitoring Tool

프리웨어이며 http://domain.com 과 같이 도메인이나 http://8.8.8.8 처럼 IP로 체크가 가능합니다. 80포트 외 체크는 불가합니다.



여러 개의 홈페이지를 일정 간격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스코드입니다.


주소창은 피싱 사이트와 같은 문제로 웹 표준 보안상 사라지지 않아 소스코드(location=no 옵션)에 넣지 않았습니다.

간혹 0.html 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했는데도 화면에 안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순서를 바꿔주면 가능할 겁니다. 서버에서 설정한 값 때문에 안 보이는 경우가 발생하는 듯싶습니다.


 [start.html]

<html>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open_win(){

 window.open("open.html","popup","windth=500, height=600, left=0, top=0, toolbar=no, directories=no, status=no, menubar=no, resizable=no, scrollbars=no, copyhistory=no");

 }

 window.open('','_parent').close();

</script>

<body onLoad="javascript:open_win();">

</body>

</html>


 [open.html]

<html>

<frameset rows="0%,*">

<frame src="0.html" name="top">

<frame src="" name="body">

</frameset>

</html>


 [0.html]

<html>

<head>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10; url=1.html">

</head>

<body>

<script language="javascript">

parent.body.location.href="http://www.daum.net";

</script>

</body>

</html>


 [1.html]

<html>

<head>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10; url=2.html">

</head>

<body>

<script language="javascript">

parent.body.location.href="http://www.tistory.com";

</script>

</body>

</html>


 [2.html]

<html>

<head>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10; url=0.html">

</head>

</html>


추가로 작업 스케줄러에 배치파일을 등록해서 자동으로 재시작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배치파일과 모니터링소스파일은 같은 디렉토리에 있어야 합니다.


 [start.bat]

@echo off

taskkill /F /IM iexplore.exe

start iexplore.exe D:\monitoring\start.html

exit


◎ Piktures

2015년 10월 갤럭시 노트5로 핸드폰을 바꿨습니다.

구매 당시 외장메모리슬롯이 없는 부분이 마음에 걸렸지만

4년 6개월을 쓰던 스마트폰 배터리가 하루를 못 버티던 관계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32GB 내장메모리를 사용하다가 공간이 부족해 OTG USB로 사진을 옮겼는데 기본으로 설치된 갤러리나 내 파일에서는

내장메모리에 저장된 사진을 보듯이 볼 수가 없었습니다.

하나하나 봐야 하는 불편함에 검색을 하다 보니 OTG USB 내 사진을 기본 갤러리처럼 보여주는 앱이 있더군요.

처음에는 QuickPic 이라는 앱을 사용하였으나, CM(Cheetah Mobile) 社에서 인수 이후 과도한 앱 권한을 통해

개인정보를 수집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삭제 후 Piktures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전체 보기, 폴더 별 보기, 다양한 정렬방식 등을 지원하며,

OTG USB에 저장된 사진을 확인하는 간단한 용도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없을 것 같네요.

 

◎ 혁신적인 갤러리 앱
Piktures는 DIUNE에서 개발한 종합적인 Android 갤러리 앱으로, 기존 갤러리 앱들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급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QuickPic의 대안을 찾던 사용자들이 QuickPic이 Cheetah Mobile에 인수된 후 개인정보 수집 문제로 인해 많이 전환한 앱 중 하나입니다.

현재 버전 2.23 (2025년 6월 기준)까지 출시되어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100만 회 이상 다운로드되어 사용자들로부터 4.2/5.0의 평점을 받고 있습니다.

◎ 핵심 기능 및 특장점

 - 통합 미디어 접근성

 > Piktures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저장소에 대한 통합 접근입니다. 단일 앱에서 다음과 같은 미디어 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내장 메모리 및 SD 카드
  • 클라우드 서비스: Google Drive, OneDrive, Dropbox, Box, pCloud 등
  • 개인 클라우드: Nextcloud, WebDAV 서버
  • USB 드라이브: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으로 OTG USB 완벽 호환
  • 개인 컴퓨터: Piktures Media Server를 통한 직접 연결

 

 - 보안 기능: Secret Space

  > Secret Space는 Piktures만의 독특한 보안 기능입니다:

  • PIN 코드 보호: 생체인식 또는 PIN으로 접근 제한
  • 암호화 저장: 사진이 고유 키로 암호화되어 .Piktures 숨김 폴더에 저장
  • 이중 보안: 파일 관리자에서 보이지 않으며, 암호화되어 무단 접근 불가
  • 오프라인 보안: 로컬 기기에만 저장되어 클라우드 유출 위험 없음

 

 - 고급 편집 및 미디어 관리

  > 내장 편집 도구:

  • 크롭, 회전, 리사이즈, 필터 적용
  • 밝기, 대비, 채도 조정
  • 그림 그리기 기능

  > 비디오 플레이어:

  • 다양한 비디오 포맷 지원
  • Picture-in-Picture 모드
  • Google Cast를 통한 TV 캐스팅

 

 - 다양한 보기 옵션

  > 레이아웃 선택:

  • 그리드 뷰: 3, 4, 5열 옵션
  • 모자이크 뷰: 다양한 크기의 썸네일 배치
  • 리스트 뷰: 세부 정보와 함께 목록 표시
  • 캘린더 뷰: 촬영 날짜별 정리

 

◎ OTG USB 지원의 실용성

Piktures가 특히 유용한 경우는 OTG USB 지원 기능입니다. 외장 메모리 슬롯이 없는 기기에서:

 - OTG USB 활용 시나리오

  • 저장 공간 확장: 내장 메모리 부족 시 USB 드라이브로 사진 이전
  • 기본 갤러리 한계 극복: 삼성 갤러리나 내 파일 앱에서는 OTG USB 내 사진을 갤러리처럼 볼 수 없음
  • 원활한 브라우징: Piktures는 OTG USB의 사진을 내장 메모리처럼 자연스럽게 표시

 - OTG 호환성

  > USB OTG (On-The-Go)는 스마트폰이 USB 호스트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 필수
  • 대부분의 최신 Android 기기에서 지원
  • microUSB 또는 USB-C OTG 어댑터 필요

 

◎ 개인정보 보호 중심 설계

 - Piktures는 프라이버시 우선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수집 최소화

  • 개인정보 수집하지 않음
  • 사진 및 비디오 데이터는 수집이나 공유하지 않음
  • 광고용 Device ID만 수집 (광고 표시 목적)

  > 로컬 처리

  • 모든 사진 처리는 로컬에서 수행
  • 클라우드 접근은 사용자가 직접 연결한 서비스만 이용
  • 자체 렌더링 엔진으로 빠른 사진 표시

 

◎ 사용자 경험 및 평가

 - 긍정적 피드백

  > 사용자들이 가장 높게 평가하는 점:

  • 세련된 디자인: 직관적이고 미적으로 우수한 인터페이스
  • 다양한 레이아웃: 모자이크, 그리드 등 개인 취향에 맞는 선택
  • 태그 기능: 메타데이터에 태그 추가로 체계적 정리
  • QuickPic 대안: QuickPic 문제 이후 최고의 대안으로 인정

 

 - 현재 이슈 및 개선점

  > 주요 문제점:

  • Android 15 호환성: 최신 안드로이드에서 비디오 재생 문제
  • 사진 이동 불편: 많은 클릭 과정과 폴더 썸네일 부재
  • UI 문제: 간헐적 검은 화면, 버튼 가시성 문제
  • 기능 제한: PNG 태그 지원 불가, 크롭 시 줌 기능 부재

 

◎ 요금제 및 프리미엄 기능

 - 무료 버전

  > 모든 기본 기능 이용 가능

 - 프리미엄 버전

  > 고급 클라우드 기능:

  • 무제한 클라우드 계정 연결 (무료 버전은 2개로 제한)
  • 향후 계획: PIN 전용 보호, SD 카드 Secret Space 지원

 

경쟁 앱과의 비교
vs Google Photos

기능 Piktures Google Photos
OTG USB 지원 ✅ 완벽 지원 ❌ 미지원
개인정보 보호 ✅ 로컬 처리 ❌ 클라우드 기반
오프라인 사용 ✅ 완전 지원 ⚠️ 제한적
다양한 클라우드 ✅ 다중 지원 ❌ Google만
Secret Space ✅ 암호화 지원 ❌ 미지원

 
vs 기본 갤러리 앱
Piktures의 장점:

  • OTG USB 및 외부 저장소 완벽 지원
  • 클라우드 통합 기능
  • 고급 편집 도구
  • 보안 폴더 기능

 

◎ 설치 및 시스템 요구사항
 - 최신 버전 정보 (2025년 기준)

  • 버전: 2.23
  • Android 요구사항: Android 11 이상
  • 파일 크기: 약 30-40MB
  • 다운로드: Google Play Store, 공식 웹사이트

 - 호환성

  • 지원 형식: JPEG, PNG, GIF, MP4, WebP 등 광범위한 미디어 포맷
  • 클라우드 서비스: Google Drive, OneDrive, Dropbox, Box, pCloud, Nextcloud
  • 파일 시스템: FAT-32 (OTG USB), NTFS (일부 제한)

 

◎ 결론 및 추천
Piktures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OTG USB 활용자: 외장 메모리 슬롯이 없는 기기 사용자
다중 클라우드 사용자: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합 관리하려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중시자: 로컬 처리와 암호화 보안을 원하는 사용자
QuickPic 대안 탐색자: 기존 QuickPic 사용자들의 안전한 대안

한계점:
최신 Android 버전과의 호환성 이슈
복잡한 사진 이동 프로세스
일부 고급 편집 기능 부족

Piktures는 기본 갤러리 앱의 한계를 극복하고 싶은 사용자들에게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OTG USB나 다중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진을 관리해야 하는 사용자라면 다른 갤러리 앱에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가치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2016년 3월에 갤럭시 탭프로S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는데,
평상시처럼 화면 출력이 안 되고 발열이 느껴진다면 뒷면의 생산 일자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16년 2월 생산제품은 메인보드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8월 한 달 동안 발열을 동반한 먹통증상이 3번째 발생했을 때 뭔가 이상하다고 느껴졌고,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메인보드를 교체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AS센터를 가서 기사님께 메인보드에 문제가 있는 것 같으니 교체해달라고 얘기했는데
내부적으로 전달받은 사항이 없다며 불쾌해하시더군요.
(뭘 알고 메인보드를 교체해달라고 하느냐고 생각하신듯싶네요...)
잠깐 만져보고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냥 가져갈 것인지 공장에 보낼 것인지 물어봐서
공장에 보내서 확인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태블릿을 열어보려면 열을 가해야 한다고 액정보호 필름을 뜯어야하며, 무료로 드릴 수 없다고 얘기하더군요.


아무튼 결과는 메인보드를 교체해서 받았습니다.
그리고 AS센터는 액정보호필름을 무료로 줄수 없다고 하였으나
공장에서 액정보호필름을 붙여서 보내줬네요 ^^

갤럭시 탭프로S를 사용하다가 평상시처럼 화면 출력이 안 되고

5~10초 정도 전원 버튼을 누르고 있어도 부팅이 안 되는 먹통증상이 보인다면

전원 버튼(①)과 음량조절(+) 버튼(②)을 10초간 길게 누르면 다시 시작됩니다. (아래 버튼 위치 이미지 참고)


◎ 핵심 요약
NvNetworkService는 그래픽 드라이버(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필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정식 NVIDIA GeForce Experience가 설치될 때 같이 들어오는 업데이트·텔레메트리용 백그라운드 서비스입니다.

자체적으로 악성코드는 아니지만, 시스템 자원을 많이 쓰거나 취약점·사칭 위협이 보고된 바 있어 굳이 필요 없다면 설치하지 않는 편이 안전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만 필요하다면 설치 단계에서 Custom → Graphics Driver만 체크해 NvNetworkService 및 GeForce Experience를 제외해도 GPU 구동에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 NvNetworkService의 정체

구분 내용
파일 이름 NvNetworkService.exe
설치 위치 C:\Program Files (x86)\NVIDIA Corporation\NetService\
서비스 이름  NVIDIA Network Service (NvNetworkService)
역할 ① GeForce Experience 자동 업데이트
② 드라이버·게임 최적화 프로필 다운로드
③ NVIDIA 계정 인증·텔레메트리 전송
필수 여부 GPU 작동·게임 성능과 무관.
GeForce Experience 기능(원클릭 최적화, ShadowPlay, 드라이버 알림)을 쓰지 않을 경우 불필요

 

◎ 왜 “악성”이라는 오해가 생겼나?
 - 높은 자원 점유 및 과도한 네트워크 통신
  > 드라이버‧프로필 파일을 주기적으로 내려받아 트래픽·CPU 점유율이 튀는 사례가 오래전부터 보고되었습니다.
 - 보안 취약점
  > 2023년 이전 버전 GeForce Experience(3.27.0.112 미만)에 권한 상승·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견돼 구버전 그대로 두면 공격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 동명이인 악성코드
  > 일부 코인 마이너·백도어가 NvNetworkService.exe 이름을 도용해 배포된 사례가 있습니다.
  > 정품 파일은 NVIDIA Corp.의 디지털 서명이 포함돼 있으므로, 서명 확인으로 진위 구별이 가능합니.

◎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 필요 없으면 애초에 설치하지 않기

  > 드라이버 설치 시 Custom (고급) → Graphics Driver만 체크하면 NvNetworkService·GeForce Experience가 제외됩니다.

 - 이미 설치됐다면 비활성/제거
① services.msc → NvNetworkService 중지 및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
② 제어판 > 프로그램에서 NVIDIA GeForce Experience만 선택 후 제거
③ C:\ProgramData\NVIDIA Corporation\NetService 폴더를 비우고 서비스 재시작 시 오류 없으면 완전 제거 성공.

 - 정품 여부 확인

  > 파일 우클릭 → 속성 → 디지털 서명 탭에 NVIDIA Corporation 서명이 있어야 정상.

  > SHA256 값이 공식 드라이버 패키지와 불일치하거나 서명이 없으면 즉시 삭제·악성코드 스캔 권장.

 - GeForce Experience를 꼭 써야 한다면 최신 버전 유지

  > 2024년 이후 드라이버부터 신규 ‘NVIDIA App’로 통합되며 취약점이 패치되었습니다.

  > 자동 업데이트를 켜 두거나 새 버전(>= 3.28 또는 NVIDIA App)을 수동 설치합니다.

◎ 결론
NvNetworkService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와 별개인 부가 서비스이며, 기본적으로 악성코드는 아닙니다.
다만 시스템 자원을 소모하고 과거 취약점이 존재했으므로 그래픽 드라이버만 필요하다면 설치 단계에서 제외하거나 제거해도 무방합니다.
이미 설치되어 있고 사용 목적이 확실하다면 최신 버전 유지 + 정품 서명 확인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